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Close

FAQ


  • 캘리브레이션(중량조정)에 대한 문의를 하셨는데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전원을 켜고 영점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MODE키와 RE-ZERO키를 같이 누르시면 ‘CAL 0’라는 메세지가 표시됩니다.

    2.장비가 안정이 되면 메세지 좌측상단에 동그라미가 표시됩니다. 이때 짐판위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RE-ZERO키를 누르시면 영점값이 입력되고’CAL F’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3.EK-120의 경우 100g (EK-1200은 1Kg, EK-12K는 10Kg) 분동을 올립니다. 마찬가지로 장비가 안정이되면 좌측상단에 동그라미가 표시가 됩니다. 이때 RE-ZERO키를 누르시면 값이 입력이되면서 ‘End’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그후 분동을 내리시고 MODE키를 눌러주시면 영점이 뜨면서 중량조정이 끝나게 됩니다.

    위 방법으로도 중량조정이 안 될 경우, 장비내 로드셀이나 메인보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수리를 받으셔야 합니다. 한국에이엔디 A/S팀 (02-780-4101 / 내선 206)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보통 EK시리즈는 장비 밑면에 보면 중량조정명판이 붙어있습니다.
    명판을 보시면 많이 참고가 되실겁니다.

  • 전자저울, 특히 지금 사용하시는 GF-300 모델은 고정밀/고사양의 제품입니다. 

    전자저울은 제품의 특성상 환경(습도,온도,미세진동)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전원을 켜고 30분 동안 워밍업을 함에 따라 센서, 메인보드, A/D 컨버터등의 기능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 자동차의 시동을 켜두고 워밍업을 하는 이유와 같습니다.

  • 1. 먼저 바탕화면의 내컴퓨터 아이콘을 클릭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십시오. 

    2. 속성을 눌러 속성창이 뜨면 하드웨어탭의 장치관리자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3. 포트(COM 및 LPT)에서 USB의 통신포트가 몇번으로 잡혀있는지 확인하십시오.
    4. WinCT 및 기타 관련 프로그램에서 통신포트를 3번에서 확인한 번호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5. 계속 연결이 안 될경우, USB포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 창을 띄웁니다.
    6. 포트설정탭에서 고급(A)버튼을 클릭합니다.
    7. 대화창의 COM 포트번호를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번호로 변경하여 주십시오.

    COM2가 비어있다면 가급적 COM2로 변경하여 주십시오.
    8. 4번과 같이 포트번호를 7번에서 변경한 포트로 변경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 1. 아답터을 연결한후 [ON/OFF] 키를 이용하여 화면만 OFF 합니다. 

    2. 저울 뒷쪽에 오른쪽에 뚜껑을 여시면 [CAL] 스위치를 ON 합니다.
    3. [MODE]키와 [ZERO]키를 동시에 누른상태(Hold)에서 ON 시킵니다.

    4. [SAMPLE]키를 한번 누릅니다. ( “g” 선택의 의미)
    5. [ZERO]키를 눌려 단위 설정을 마칩니다.
    6. [CAL] 스위치를 OFF 하시고, ON/OFF 하여 확인합니다.

  • 제품을 PC와 연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RS-232C을 PC와 연결하는 방법 / RS-232C를 RS-422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RS-232C는 거리 15M를 기본으로 하여 때로는 100M까지 닿기는 하지만 외부적인 노이즈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RS-232C를 RS-422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 1Km까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데이타저장 및 출력을 원한다면 PC에 소프트웨어 작업을 해야 합니다.

  • 로드셀의 인가 전압은 DC 전압입니다. 출력도 DC로 나옵니다. 

    두번째로 mV/V에 대한 설명입니다. mV/V는 인가 전압에 대한 출력전압의 비를 뜻합니다.
    만약에 로드셀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때의 출력을 계산하도록 합니다.

    로드셀 출력 전압 = 하중에 의한 전압비(mV/V) * 인가 전압(V)
    = 하중에 의한 전압비 * 인가전압 (단위는 mV) 

    따라서 어떤하중에 의해 로드셀 출력비가 1.2mV/V이고 인가 전압이 5V이면
    로드셀 출력 전압은 1.2 * 5 (mV) = 6mV 가 됩니다.

    로드셀 출력 전압을 크게 할려면 인가전압을 높이면 됩니다. 보통 인디케이터에선 인가 전압이 5V 입니다.
    mV를 측정할수 있는 테스터기와 전원이 있으면 로드셀에서 전압을 측정할수 있습니다.
    먼저 전원을 로드셀에 인가해주고 출력단을 테스터기로 측정하면 됩니다.
    로드셀의 분해능은 일정한 무게를 어느정도 세밀하게 축정할수 있느냐로 말할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일정 구간에서 얼마정도의 직선성을 가지고 있는냐로 표현할수도 있구요. 인디케이터의 분해도는 입력된 로드셀의 전압을 어느정도의 작은 단위로 표시할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로드셀과 인디케이터의 상관관계입니다. 분해능이 좋은 로드셀을 사용하면서 분해능이 낮은 인디케이터를 사용한다면 분해능은 인디케이터에 의해 결정이 될겁니다. 그렇게 되면 굳이 높은 분해능의 로드셀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어 지겠지요. 반대의 경우도 성립을 할겁니다.

  • WinCT Moistur RS-Fig와 수분측정기의 데이터 통신이 안 될 경우, 다음 사항을 먼저 점검하십시오. 

    1. 케이블과 장비의 연결은 잘 되어있는가.

    2. [시작]-[WinCT Moisture]-[RS-Fig]의 메뉴-[RS-232C]의 Com Port의 설정이
    컴퓨터의 포트넘버와 일치하는가? (디폴트1)입니다.

    위와 같이 설정이 잘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
    [시작]-[WinCT Moisture]-[RS-Fig]-[RS-232C]의 하위메뉴 설정이 다음과 같은지 확인하십시오.

    Com Port 1 (혹은 제어판 – 하드웨어 관리 – Port에 설정된 넘버)
    Baud Rate 2400
    Parity Bit E
    Length 7
    Stop Bit 1

  • ’ERROR 0’는 중량이 안정이 되지 않고 흔들림이 계속 될 경우 발생하는 에러표시입니다.

    이러한 에러메시지가 표시되면 우선 주변의 환경을 살펴 보시고 혹시 주변에 바람은 없는지, 짐판주변에 무언가가 닿아 있는 것은 아닌지, 저울을 올려 놓는 선반이 흔들리지 않는지 확인해야합니다.

    GF-4000은 분해능이 1/400,000 인 발란스로, 주변 환경, 선반 상태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제품 · 기타문의
TEL /
032-811-4276
FAX /
032-811-4278
최근 본 상품
TOP